출처 : https://www.inflearn.com/course/java-codesquad/dashboard
[무료] 만들어 가면서 배우는 JAVA 플레이그라운드 - 인프런 | 강의
는 마스터즈코스 화이트레벨을 수강하기 위한 준비단계입니다. 대상은 코딩을 전혀 경험해보지 않았던 분들을 위한 과정입니다. 기존의 이론 위주로 학습 방식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만들어가
www.inflearn.com
필사 :
Contents
- 프로그래밍 학습이 어려운 이유
- 극복하는 방법
-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취업까지 현실적인 조언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Why Learning to Code is So Damn Hard"
상당히 많은 분들이 앞단계에서 포기를 한다.
극복한 사람들이 인내를 가지고 꾸준히 학습하다가
자신감도 생기고 프로그래밍이 재밌어진다.
초반에는 학습할 양이 많지만
자신감이 떨어지는 기간,
상당히 긴 기간 동안
학습할 자료들이 부족해진다.
학습해야 할 지식의 범위, 주제들이
초반에는 많지 않다.
점점 많아지다가 마의 구간에 오면
학습해야할 지식의 범위가 엄청나게 늘어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줄어들고
자신감이 생기게 된다.
3가지 자료의 종합본.
어떻게 살아남을 것이냐
각 단계별 1~4단계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1 : Surviving the Hand-Holding Honeymoon
- 다양한 초보 강의를 검토한 후 하나를 선택해 학습
- 이 단계에서 대부분의 강의 내용은 비슷하기 때문에
하나를 선택해 반복학습
2 : Surviving the Cliff of Confusion
- 초보라 할지라도 학습을 같이할 동료를 구한다.
- 다른 사람의 코드 읽기
- 지속적으로 작은 코드를 시작하고 빌드하면서
디버깅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
혼자하면 지치고 포기할 가능성이 있다.
처음부터 큰 코드 말고, 매우 작은 코드부터 시작해서
문제를 해결해가는(디버깅) 과정 및 자신감 얻기.
3 : Surviving the Desert of Despair
- 하나의 목표를 설정한 후 목표에 집중
- 수박 겉핥기 식의 다양한 지식 습득이 아니라
한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 습득
- 구체적인 목표 의식을 가지고
의식적인 연습을 함으로써 시간 낭비를 최소화
학습할 분야가 너무 많다.
목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웹 프로그래머가(백엔드 or 프론트엔드) 될 것인지, 게임 프로그래머가 될 것인지,
모바일 프로그래머가 될 것인지,
잘 모르겠으면 마음에 끌리는 분야에
일정시간 최소 6개월~1년 집중해보기.
너무 다양한 경험을 해보려 하지 말고
하나의 목표를 깊이 있게.
지식의 깊이를 더해가는.
이렇게 하면 이 고비를 지나갈 수 있다.
4 : Surviving the Upswing of Awesome
- Best practices를 찾아 연습하고, 지식의 빈틈을 보완
- 설계, 아키텍쳐, 배포와 같이 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한 연습
- 이 단계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은 피드백을 받는 것
=> 코칭을 해줄 멘토나 동료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4단계 까지 극복하고 취업을 하면 좋지만
3단계에서 보통 취업을 한다.
자동화, 클린코드, 보안 등을 공부해
더 역량이 뛰어난 프로그래머로 인정받게 된다.
피드백에 따라 연습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실적인 조언
- 프로그래머로 취업하고 싶다면 일단 주변 정리부터 시작
= 애인과의 만남 시간 조정. 예로 2주에 1회
= 친구들과의 관계 끊기
- 모든 우선순위에서 프로그래밍 학습을 1순위
= 프로그래밍 관련 책만 읽기
= TV 보지 않기 등
프로그래머를 직업으로써 한 번 갖길 바란다면
일단 여기에 올인을 해야한다.
애인을 설득해서 2주에 1번이나, 1달에 1번 정도 만나도록.
모든 삶의 우선순위에서 프로그래밍을 1순위로.
취미생활 다 끊고 코딩에만 몰입해야 한다. 올인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중간에 쉽게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프로그래머 취업 과정
- 최소 1년
- 5,6개월 정도 학습하고 취업 가능하다. 하지만 취업 후 정말 힘들다.
- 직장 생활하면서 학습을 병행하는 것은 정말 힘들다.
취업하기 전에 일정 수준.
자신감은 있는 정도의 상태에서 취업하는 것을 추천한다.
연봉협상 할 때도 자신감 있게.
그런 준비 기간이 최소 1년이라고 생각한다.
전공자들은 4년 공부하는데
비전공자가 1년 공부해서 취업한다면 괜찮지 않나요?
1년 정도는 해야되지 않을까요?
학습 하는 방법
- 온라인 상에 정말 좋은 컨텐츠 많음.
하지만 의지력을 가지고 지속하기 힘듦
- 의지력이 약하다면 시작은 단기 속성 학원 활용
- 속성 학원에서 취업 가능한 상태 만들기 힘듦
- 학원에서 반드시 배워야할 것은 프로그래밍 기초,
개발 환경, 무엇을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
- 무엇을 어떻게 학습할 것인지에 대한 감을 잡으면 독학 시작.
모든 것을 배우겠다 하면
돈이 너무 많이 든다.
학원의 경우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달할 게 없어지는 경우도 많다.
2~3개월 학원 다니다가 독학하길 추천.
독학하는 방법
- 같이 학습할 사람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혼자 하면 지치고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 스터디 그룹을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
누가 만들어 주기 기다리지 말고 직접 만든다.
- 매일 일정한 시간, 장소로 출퇴근을 하면서 학습.
무료로 학습할 공간 찾음.
출퇴근 한다는 개념으로.
하루 몇시간은 공부한다.
무조건 앉아 있는다. 일단 앉아 있는다.
이런 목표를 정하고 해야지만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3~4개월, 1년 하다보면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
포기하지 말고 반드시 이 단계를 넘었으면 좋겠다.
멘탈 관리
- 다음 단계로 무엇을 학습할 것인지 모르겠거나, 포기하고 싶으면
기존 학원 강사나 온라인에서 취업 후기 남기는 개발자들에게
메일을 보내 조언을 구함.
- 가끔씩 개발자 컨퍼런스 같은 곳에 참여
- 가끔씩 회사 인턴, 정직원으로 지원해 자신의 부족한 점 파악
두려움을 갖지 말고, 조언을 구하면
오히려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다.
왜냐하면 프로그래머들은 순수하다.
누굴 돕는 것을 좋아한다.
앉아있기만 하면 지치다보니
가끔씩 컨퍼런스 같은 곳에 참여 해보면
떨어진 열정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나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우니
가끔씩 정직원으로 지원해 부족한 점을 파악.
내가 성장할 수 있는 회사가 있다면
한 번 도전해보아라. 꼭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꾸준히 성장하면 생각했던 것보다 더 좋은 회사로 갈 수 있다.
프로그래머가 되어 현장에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느낀점 :
취업을 바로 하고 싶었다.
생각해보니 사실상 힘든 것이구나 싶다.
3단계까지를 목표로 해서 1년동안 자신감을 쌓고
많은 것을 이뤄낸 뒤 자신감 있게 취업하고 직장생활하자.
1단계 -> 독학
2단계 -> 국비학원 (22/9/19~)
3단계 -> 독학 및 스터디
4단계 -> 취준 및 부족한 점 보완
애인에게 2주에 한 번 만나자고 설득하기.
목표한 시간에 무조건 일단 앉아있기.
부족한 점 파악하는 용도로 면접 활용.
여러 번 보자!
뭘 하던지 처음에 할 때는
뭐든 할 수 있고 긍정적인 미래만 꿈꾸게 된다.
하지만 막상 본격적으로 학습하거나 실천하게 되면 어려워지고 멘탈이 흔들리곤 한다.
처음에 기대감을 갖지 않는 것도 꾸준히 하기 위한 방법이겠다.
'국비학원 전 강의 필사 > JAVA 플레이그라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Github 저장소 생성 및 markdown 문법 사용 - <JAVA플레이그라운드 (0) | 2022.08.15 |
---|---|
#6 Hello World 출력 프로그램 구현 및 실행 - <JAVA플레이그라운드> (0) | 2022.08.15 |
#4 윈도우즈 운영체제에 jdk 설치 및 eclipse 설치 - <JAVA플레이그라운드> (0) | 2022.08.15 |
#3 개발환경 요구사항과 학습 단계 - <JAVA플레이그라운드> (0) | 2022.08.15 |
#2 프로그래밍 학습 방법 - <JAVA플레이그라운드> (0) | 2022.08.14 |
댓글